학술 행사
초청 강연
- 
                번호제목등록일조회수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12제목 [25.09.19] [정의의 인문학] 제3회 | 김유석(정암학당) “시인, 소피스트, 철학자: 정의를 바라보는 세 개의 시선”등록일 2025-09-12조회수 83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11제목 [25.06.13] [정의의 인문학] 제2회 | 박원익(한국재정정보원) “경제는 공정할 수 있는가? -도덕과학으로서 경제학을 다시 보다”등록일 2025-06-05조회수 125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10제목 [25.05.30] [정의의 인문학] 제1회 | 박성우(서울대학교) “정의란 무엇인가?: 서양고전정치철학 vs. 근대정치철학”등록일 2025-05-23조회수 135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9제목 [25.05.27] [Hanyang Global Lecture Series] 제5회 | David Engerman(Yale University) “원조의 대가 : 인도와 경제적 냉전(The Price of Aid : The Economic Cold War in India)”등록일 2025-05-22조회수 128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8제목 [24.09.12] [Hanyang Global Lecture Series] 제4회 | 조호희(University of Oxford) “20세기 남태평양 지역 영제국 내 식민지간 국제보건협력(Intercolonial Health Cooperation in the British South Pacific, 1920-50s)등록일 2024-09-04조회수 138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7제목 [24.05.24] [저명학자 특강] 제4회 | 이헌창(고려대학교) “한국 근대화의 역사적 배경과 과정”등록일 2024-05-13조회수 21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6제목 [24.03.25] [Hanyang Global Lecture Series] 제3회 | 田中美彩都(東洋大學) “‘유교사회’ 한국의 가족 ‘다양성’과 ‘전통’:근현대 이성양자(異姓養子)의 변천을 중심으로”등록일 2024-03-11조회수 476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5제목 [23.04.21] [Hanyang Global Lecture Series] 제2회 | Mareike URBanEK(Ruhr-Universität Bochum) “민의(民意)에 따라: 조선 초기 지역 통치의 맥락에서 소원제도의 규제, 적용 및 인식에 대한 몇 가지 생등록일 2023-09-13조회수 206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4제목 [23.03.24] [저명학자 특강] 제3회 | 김호(서울대학교) “함병춘 선생의 법 문화”등록일 2023-09-13조회수 564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3제목 [23.02.22] [Hanyang Global Lecture Series] 제1회 | Marie Seong-Hak Kim(St. Cloud State University) “유럽과 동아시아 법사에서 법원(法源)으로서의 관습”등록일 2023-09-13조회수 631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2제목 [22.11.17] [저명학자 특강] 제2회 | 김도균(서울대학교) “한국사회에서 정의, 공정, 법치”등록일 2023-09-13조회수 440
- 
        
            번호 1제목 [22.10.21] [저명학자 특강] 제1회 | 김현철(이화여자대학교) “권리의 개념사-고대 서양에서 현대 한국까지”등록일 2023-09-13조회수 414
 
                